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로스트치킨샐러드
- javascript
- 오늘양짱많음
- 취미
- styled-components install error
- 전복과붕어빵
- useMemo
- 상수와변수
- 문자열보간법
- 면담끝
- 카드지갑
- 정처기
- 서브웨이
- 기본데이터타입
- 너무무서워
- 러닝자바스크립트
- 샐러드좋아
- 커링
- 노드 버전
- Git
- GitLab
- 후록스
- 가죽공예
- 아이행복해
- node version update
- 내일의주인공은나야나
- ERESOLVE
- 프라모델
- 찐대졸
- 자고싶다
- Today
- Total
목록개발/Swift (4)
당근농장
코딩을 하다 보면... 거의 모든 함수가 조건문과 반복문의 연속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ㅋㅋ;; 일 끝내고 포스팅 쓰는 거라 열어둔 파일이 있는데 ㅋㅋㅋ 잠깐 보니 그냥 뭐 조건문 조건문 조건문 ... 반복문 ... 각 상황에 맞게 코드를 짜야하다 보니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ㅎㅎ; 그만큼 중요하단 거지 ~~~~~ 중요중요중요 ⭐⭐⭐⭐ 여튼 스위프트에서의 조건문, 반복문 역시 다른 언어의 문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. 기본적인 키워드는 c, c++, java, js등과 같이 거의 비슷한 편? (아 근데 switch 구문은 좀 많이 좋은 편이다 ㅋㅋ 짱짱 👍🏻) 자세한 건 아래에서 다뤄보도록 하겠음 ㅎㅎ 조건문 1️⃣ if-else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 형태이다. 하지만 다른 언어와 ..
오랜만에 쓰는 포스팅! 오늘 정리할 내용은 함수(function)이다. 함수.... 중요하지..... 사실 프로그래밍 === 함수 만들기 아닌가? 여러 개의 함수가 모여서 하나의 프로그램이 되는 거니까! 그런 의미에서.. 오늘은 조금 중요한 파트! 라고 보면 된다.~ 하지만 내용은 크게 어렵지 않숨다~~😉 함수 기본 1️⃣ 함수선언의 기본형태 func 함수이름(매개변수1이름: 매개변수1타입, 매개변수2이름: 매개변수2타입 ...) -> 반환타입 { /* 함수 구현부 */ return 반환값 } // 예시1) // sum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// a와 b라는 Int 타입의 매개변수를 가지며 // Int 타입의 값을 반환하는 함수 func sum(a: Int, b: Int) -> Int { return a ..
지난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Swift는 타입에 굉장히 엄격한 언어이다. 그렇다면... 한 변수에 다양한 타입의 값들을 할당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? 아무 것도 없음을 표현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? 또한, 언어마다 다양한 컬렉션들도 존재한다. 그럼 그 컬렉션들은 Swift에서 어떤 식으로 사용하고 있을까? 오늘은 크게 이렇게 두 가지의 물음에 답할 예정이다!! Let's go ~~ 🏃 Any/AnyObject/nil Any Swift의 모든 타입을 지칭하는 키워드. 따라서 어떤 타입도 수용 가능하다. (하지만 반대의 경우는 성립하지 않는다 ㅎㅎ;;) var someAny: Any = 100 someAny = "아무 거나 넣을 수 있음!" var someInt: Int = 200 someAny = ..
업무 시간 이후 회사, 지하철, 집 등등 시간 날 때마다 틈틈이 BoostCourse에서 iOS 프로그래밍을 위한 스위프트 기초 강의를 들었다. 갤럭시 탭 상하 분할로 위에 강의 영상, 아래에 원노트를 키고 내장된 펜으로 열심히 필기하면서 공부했는데, 사실 나는 직접 손으로 쓴 노트보다 키보드로 타이핑해서 정리해두는 게 더 눈에 잘 들어오기도 하고, 기억에도 잘 남아서 여기에도 기록해두려고 한다!! 약간 복습 느낌? ㅇㅅㅇ...ㅋㅋ 아 물론 각 잡고 쓰는 건 아니라 모든 강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건 아니다. (각 잡고 쓰지 않는 이유에 대해선 조만간 포스팅할 예정 ㅎㅎ😝) 문자열 보간법 (String Interpolation) - \() 코딩을 하다보면 문자열 내에 변수나 상수의 실질적인 값을 표현하고..